직장인 방통대 졸업하기 6

[R] 객체의 속성(attribute)

R에서 의미를 가진 모든 것은 객체이다. 단순한 숫자 하나도 객체이고, 행렬이나 변수도 객체이고, 연산자, 함수 등 모두 객체에 속한다. 그러므로 객체는 모든 정보처리의 기본 단위이다. 특히나 R은 데이터 처리, 분석 등의 목적을 가지는 언어로 대부분 데이터를 담고 있는 데이터 객체(data object)이기에 여러 객체의 속성 중에서도 데이터 객체의 속성을 중심으로 정리 할 것이다. 유형(mode) 유형이란 객체가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의 최소단위의 형태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데이터는 기본 형태를 가진 데이터와 특수 형태를 가진 데이터로 구분이 가능한데, 데이터의 형태가 객체의 유형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서 복소수 데이터로 이루어진 벡터 객체의 유형은 복소수형(complex)이며, 정수(integer),..

[R] 구문법

구문법칙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명령문의 구조를 지배하는 법칙이다. 단순한 표현식이나 명령문, 나아가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구문법칙을 지켜야한다.(rules of syntax) 프로그래밍 언어마다 살짝 살짝 구문법칙이 다르기에, R에서 필요한 구문법칙을 정리해보자! 식별문자(identifier) 표현식이나 명령문을 구성하는 요소로 문자, 숫자 및 기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문자열이나 식별문도 포함된다. 이때 문자열은 의미 그대로 순수한 문자의 나열을 뜻하지만, 이 문자열에 어떠한 의미가 할당되어 연산이나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그 실체를 인식하기 위한 낱말이 되면 이것은 식별문자가 된다. 식별문자를 정의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구성하는 몇 가지 법칙을 먼저 알아야 한다. - 식별문자는 보통..

[R] 표현식과 명령문

프로그래밍을 업으로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이 가장 친근한 언어가 하나쯤은 있다. 파이썬, C++, 자바 등등 많은 언어가 있는데 로우레벨로 갈수록 기계와 친근한어로 가서 처리시간이 줄어들고, 하이레벨로 갈수록 인간에게 친화적이라서 기계는 처리하는데 시간이 더 든다고 한다. 내가 사용하게 될 R은 비교적 하이레벨 언어라고 하는데, 전혀 나에게 친근하게 와닿지는 않는다. ㅠㅠ R이라는 언어를 배우든, 중국어를 배우든, 스페인어를 배우든 그들의 문법에 맞는 문장으로 전달해줘야 듣는이(혹은 장치)가 편하게 이해하고 소통에 문제가 없으므로 이제부터 표현식과 명령문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1. 표현식 표현식은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 내용을 컴퓨터가 받아들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위 명력들의 조합..

R 프로그램 설치하기

나도 코딩이나, 통계학에는 아주 문외한이다. 가끔 엑셀에서 매크로 작성용 VBA를 써본적은 있지만, 구글에서 복붙 하는 수준이기에 전혀 모른다고 봐도 된다. 조금 과거로 올라가면, 통계학을 깊게 공부해보겠다고 대학교때 R프로그램을 가지고 혼자서 끙끙거려본적은 있지만, 아직도 쓸줄 모른다. 이왕 통계/데이터로 더 공부해보기로 한 마당에 다시한번 R 프로그래밍에 도전해 보기로 했다. 순전히 인터넷에 있는 자료로만 공부하기는 어려우서 예전에 공부하던 책을 다시 열었는데, 여전히 하나도 모르겠다만 어찌되었든 설치부터 다시 시작해보기로 했다. (참고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9463455 / 계량경제학 : R의 활용) R은 좋은점은 공짜란 점이다!!!!! 요즘에야 전공 ..

방통대 편입의 조건

방통대 편입 조건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신입생이라면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자격을 갖출것이며, 3학년 편입은 대학교 혹은 전문대학 졸업을 갖추거나, 각종 대학(학점은행제 등)에서 63학점 이상의 학점이 인정되는 자이면 된다. * 더 구체적인 사항은 방통대 홈페이지 참고 : https://admission.knou.ac.kr/admission/index.do?epTicket=LO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입학안내 admission.knou.ac.kr 나처럼 4년제를 졸업한 사람이나, 2년 이상의 대학 교육과정을 수료한 것이 인정되는 사람은 딱히 준비서류가 어려울 것은 없다. 기초적인 인적 사항(주소, 연락처 등)을 입력하고, 정말 간단한 내용 몇가지를 입력하면 된다. 나 같은 경우는 4년제를 이미 졸업한 상태..

직장인, 방통대를 선택한 이유

나는 직장인A로 현재 5년차 직장인이 되어가는 평범한 인간이다. 다들 비슷하겠지만, 평범하게 굴러가는 회사 생활 속 자기계발도 그립고 여태까지 내가 배워온걸 써먹는다는 느낌만 강해서 무언가 새로운 활력과 배움이 절실하게 느끼는 중에 '방송통신대학'(방통대)가 눈에 들어왔다! 사실 원래는 대학원을 지원하길 희망했었다. 최근 문송하다고 불리는 사회과학 계열의 졸업생이기도 하거니와, 학부 수준에서 배운걸로는 생각보다 깊이감이 떨어진다는 생각도 많이 들었고, 데이터/통계/코딩 등등 기술에 대한 욕구도 한참 뿜뿜하고 있었는데.... 여러가지 선택지가 있었으나 결국은 돌아 돌아 방통대를 선택하게 되었다. 1. 저렴한 비용 굳이 찾아보지 않아도 이건 다들 아실거라 믿는다. 방통대는 한학기 등록금이 대략 40만원 수준..